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전도3

흔히 발견되는 심전도 이상의 의미 : 심방조기박동, 심실조기박동, 좌심실비대, 각차단, T파 역위 흔히 발견되는 심전도 이상의 임상적 의미 심전도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에 이의 임상적 의미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저 심질환이 동반되어 있는지 여부이다. 흉통, 호흡곤란, 실신 등 기본적인 증상유무를 확인 심폐질환의 기왕력 가능하다면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흡연 등 관상동맥 심질환의 위험인자까지 확인 혈압 및 심박동수 측정을 하여 기본적인 활력징후에 대한 정보를 확보 상기의 내용들을 종합하여 환자의 심전도 이상에 대한 임상적 판단을 내리게 된다. 흔한 심전도 이상 가) 심방조기박동 (APB, atrial premature beat) 심전도 소견 - Abnormal, often inverted, premature P' wave - Normal QRST 심방조기박동은 감염, 염증, 심근.. 2023. 11. 22.
심전도 검사 및 분석법(정상 심전도 수치) 심전도 검사 및 분석법(정상 심전도 수치) (1) 심박수의 계산 : 25 mm/sec의 심전도에서 300/RR간격의 큰 칸수 (2) 심전도의 간격 및 형태 : 가로 1 mm는 0.04초, 5 mm는 0.2초, 전압은 세로 1 mm=0.1 mV 1) 심전도 파형 : 대문자(Q, R, S)는 5mm 이상의 큰 파형, 소문자(q, r,s)는 작은 파형 ① P파 : 심방의 탈분극 ② Ta : 심방의 재분극 ③ QRS군 : 심실의 탈분극 ④ T파 : 심실의 재분극 ⑤ U파 : 발생원인? 2) 심전도 간격 ① PR 간격 : 방실결절 전도시간, 정상 0.12-0.20초(3-5칸) ② QRS 간격 : 심실 탈분극 시간, 정상 0.06-0.10초(1.5-2.5칸) ③) QT 간격 : 심장의 전기적 수축기, 정상 QTc는.. 2023. 4. 17.
심전도, ECG - ST depression, ST 분절 하강의 감별 진단 ST 분절의 하강은 심내막하 손상으로 인한 심근 허혈 시 볼 수 있으며, STEMI나 ST 분절 상승이 분명하지 않은 심근경색에서 반대편 유도에서 볼 수 있다. 특히 임상에서 놓치기 쉬운 후벽 심근경색에서 V1-V3에서 ST 분절 하강을 볼 수 있으며, 반대편 유도(V7-V9)에서 ST 분절 상승을 보이기도 한다. 저칼륨혈증에서 ST 하강을 보일 수 있으며, 낮은 T파나 U파가 같이 보일 수 있다. 또한 digitalis 효과는 저칼륨혈증의 심전도와 비슷한 소견을 보이나 밑으로 쳐진 ST 분절 하강과 짧은 QT 간격을 특징으로 한다. ​ ​ True posterior STEMI Maximal ST segment depression in V1–V3 ST segment elevation in V7–V9 ​ .. 2021. 4.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