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환기

심전도 검사 및 분석법(정상 심전도 수치)

by sweetB 2023. 4. 17.
반응형

심전도 검사 및 분석법(정상 심전도 수치)

(1) 심박수의 계산

: 25 mm/sec의 심전도에서 300/RR간격의 큰 칸수

 

 

(2) 심전도의 간격 및 형태

: 가로 1 mm는 0.04초, 5 mm는 0.2초, 전압은 세로 1 mm=0.1 mV

 

1) 심전도 파형 : 대문자(Q, R, S)는 5mm 이상의 큰 파형, 소문자(q, r,s)는 작은 파형

① P파 : 심방의 탈분극

② Ta : 심방의 재분극

③ QRS군 : 심실의 탈분극

④ T파 : 심실의 재분극

⑤ U파 : 발생원인?

 

2) 심전도 간격

① PR 간격 : 방실결절 전도시간, 정상 0.12-0.20초(3-5칸)

② QRS 간격 : 심실 탈분극 시간, 정상 0.06-0.10초(1.5-2.5칸)

③) QT 간격 : 심장의 전기적 수축기, 정상 QTc는 남자 <0.42초, 여자 <0.43초

* 정상 P 2.5mm*2.5mm

 

< 심전도 읽는 순서 >

- Rate

- Regularity

- Axis

- P wave

- QRS wave

- P-QRS interaction

- ST-T change

- Specific findings

 

#. Axis

 

 

# P파

심방의 탈분극파

- 지속 시간 및 높이 : 2.5 mm X 2.5 mm 이하

- 우심방이 좌심방보다 먼저 탈분극

더러 사지유도에서 Notch

V1 유도에서 biphasic

- 심방 재분극파는 심실의 탈분극과 거의 동시에 일어나나 드물게 QRS파 앞에 Ta파가 나타난다

 

# PR간격

심방의 탈분극, 방실결절 전도, His-Purkinje계 전도까지 걸린 시간

- 정상은 0.14 ~ 0.20 초 (3.5 ~ 5칸)

심박수 증가, 교감신경 항진 : 간격이 짧아짐

심박수 감소, 부교감신경 항진 : 간격이 길어짐

 

# QRS 파

- 처음의 음성파 (Q) : 심실 중격의 탈분극

- 처음의 양성파 (R) : 심실의 탈분극

- 두번째 음성파 (S) : 좌심실 상외측벽의 탈분극

- 두번째 양성파가 있으면 R’으로 표시

- Q, R, S : 0.5 mV 이상

- q, r, s : 0.5 mV 이하

- 정상 QRS 폭은 0.06 ~ 0.10 초 (1.5 ~ 2.5칸)

 

# ST절

- 심실 탈분극 후 재분극이 나타나기 전까지의 전기적인 침묵시간

- TP 절을 기준으로 상승이나 하강을 판정

 

# T파

- 심실의 재분극파

- 탈분극과는 반대로 재분극은 심외막에서 심내막으로 진행되며 (T파의 방향이 QRS의 방향과 동일), 탈분극보다 서서히 일어난다.

 

# QT간격

심실 탈분극 및 심실 재분극에 걸린 시간

- 맥박이 빨라지면 QT 간격은 짧아지고,

- 맥박이 느려지면 길어진다.

- QTc = QT/ RR(sec) 루트 : 정상범위는 0.44초 (440 msec) 이하

- QT 간격은 RR 간격의 1/2을 넘지 않는다.

 

(3) 심장비대의 심전도 소견

1) 우심방 확장 : 유도 Ⅱ, Ⅲ aVF에서 2.5 mm 이상의 크고 뾰족한 P파

2) 좌심방 확장 : 유도 Ⅰ 및 Ⅱ에서 0.12초 이상으로 넓고 notch가 있는 P파가 나타나며, V1에서 P-terminal force가 0.04이상

3) 우심실 비대 : V1에서 R파가 크고, 우측편위나 만성폐질환의 경우 전 흉부유도에 S파가 계속 나타남.

4) 좌심실 비대 : 여러 가지 기준이 있으나 흔히 S1+R6가 35이상인 경우 좌심실 비대 전압기준. 전압기준 + 좌심방 확장 혹은 ST-T변화가 동반되면 좌심실 비대.

 

 

(4) 상심실성 부정맥 (supraventricular arrhythmia)

1) 동빈맥(sinus tachycardia : >100회), 동서맥(sinus bradycardia : <60회)

2) 동성부정맥(sinus arrhythmia) : PP 간격이 0.16초 이상 혹은 10%이상 변동

3) 동기능부전증후군(sick sinus syndrome : SSS)

① 지속성 심한 동서맥(persistent marked sinus bradycardia)

② 동정지(sinus arrest)

③ 동방차단(SA block)

④ 빈맥-서맥 증후군(tachy-brady syndrome)

4) 심방조기박동(atrial premature beat : APB)

: 비정상 모양의 P'파가 조기에 나타나며 QRS, T파는 대부분 정상

5) 심방조동(atrial flutter) : 등전위선이 없이 톱날 모양의 F파, 발생기전은 대부분 회귀.

6)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 규칙적인 뚜렷한 P파가 없으면서 irregularly

irregular QRS

7) 발작성 상심실성빈맥 (PSVT :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 심전도상 P파는 뚜렷하지 않고 심박동수가 150-250회 정도이며 시

작과 종료가 뚜렷함. narrow QRS, regular RR interval. P파는 QRS군의 앞, 중간, 뒤에 모두 가능

 

 

(5) 심실성 부정맥(Ventricular Arrhythmia)

1) 심실조기박동(ventricular premature beat : VPB) : 폭이 넓은(대부분 0.14sec

이상) 비정상 QRS군이 조기에 발생. 선행하는 P파는 없고 대상성 휴지

기(compensatory pause)가 있다.

2)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 VT)

: 3개 이상의 VPB가 100회/분 이상으로 연속하여 나타나는 것. 심박

수는 주로 140-180회/분이며 RR간격은 대체로 규칙적

3)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 VF)

: 심실 여러부위가 계통없이 수축, 확장함으로써 심박출량이 없는 상태. 심전도상 QRS군이나 T파를 감별할 수 없이 불규칙한 진동파,3-5분내 치료를 요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