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만4

감마지티피 수치가 높을 때 원인, 치료 (rGTP, GGT 상승의 원인, 진단, 검사, 치료) 감마지티피, rGTP, GGT 상승의 원인, 진단, 검사, 치료r-GTP (감마 지티피, GGT, r-glutamyl transferase)는 인체 내 여러 기관의 세포외막에 분포하는 효소이며 세포 내의 항산화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간 내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서 간세포 손상을 주는 인자들에 의해서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간 세포막에 분포하는 감마 지티피는 세포외부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세포 밖 글루타치온을 분해하여 세포 내의 필요한 가용 아미노산을 얻는데 관여한다.  감마지티피, rGTP, GGT 상승의 원인 주로 폐쇄성 간질환, 알코올 섭취, 효소 유도 약물 등이 활성 산소(free radicals)를 증가시켜 글루타치온의 고갈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감마지티피.. 2025. 3. 18.
식욕 조절 기전,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위장관 호르몬 식욕조절 기전과 비만, J Korean Diabetes 2022;23:89-96 중추신경계의 식욕조절 기전 시상하부(hypothalamus) 식욕과 체중 조절에 가장 중요한 부위이다. 시상하부의 궁상핵(arcuate nucleus, ARC)은 제3뇌실(third ventricle)과 혈액-뇌 장벽 (blood-brain barrier)의 손실이 있는 median eminence 에 인접하여 혈액 내 순환하는 영양소와 호르몬을 일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ARC에는 식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pro-opiomelanocortin (POMC) 신경세포와 식욕을 촉진하는 기능을 가진 neuropeptide Y (NPY)/agouti-related peptide (AgRP) 신경세포의 두 가지 별개의 신경세포.. 2023. 7. 25.
다이어트, 비만에서 저탄수화물 식사요법 (2022 대한비만학회, 체중조절을 위한 건강한 저탄수화물 식사요법 실행안내서) 저탄수화물 식사의 정의 탄수화물 섭취를 전체 에너지의 45%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 저탄수화물 식사요법의 전제사항 에너지 섭취 제한을 병행한다. 섭취하는 음식의 질에 초점을 맞춘다. 실행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식사를 계획해 지속적으로 실천한다 저탄수화물 식사요법의 효과 과체중, 비만에서 일반적인 체중감량 식사요법과 비슷하거나 더 큰 체중감량 효과가 관찰되어 체중감량 식단의 일부로 고려 할 수 있다. 효과는 24주 이내 단기간 사용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24주 이내 허리둘레 감소 효과, 52주 이내 연구에서 체지방량 감소,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증가, 중성지방 감소가 나타났다. 저탄수화물 식사요법의 한계점 24주 이내 연구에서 초저탄수화물 식사요법의 경우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탄수화물 .. 2023. 5. 8.
당뇨 환자의 비만약물 처방, 비만약의 효과와 위험성 당뇨환자에게서 비만 약물의 이득, 위해 비만한 당뇨 환자에게서 약물 사용에 대한 높은 수준의 근거가 없고 신뢰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어 전문가 의견은 '제한적 권고' 사항이다. 기존 연구 대상자는 체질량지수 30kg/m2 이상인 경우, 27.5kg/m2 이상이면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수면무호흡증이 동반된 경우로 한정된다. 비만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항비만제 사용의 이득 단기간 투여 허가 : 펜터민 장기간 투여 허가 : 올리스타트(제니칼), 날트렉손/부프로피온(콘트라브), 펜터민/토피라메이트(큐시미아), 리라글루타이드(삭센다) 일반적으로 3-7% 가량의 체중 감량 효과가 있지만 국내 임상 자료는 제한적이다. 항비만제 사용의 이득에 관한 세부적인 연구 결과 CONQUER 큐시미아 사용시 당뇨 환.. 2023. 4.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