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비동 점액낭종(mucocele)의 진단, 치료, 검사, 원인, 증상
부비동 점액낭종(mucocele)이란 ? 부비동 개구부나 부비동 내 소타액선 개구부의 폐쇄에 의해 점액이 팽창함으로써 골벽의 미란을 일으켜 부비동 밖으로 침범하는 만성 양성 질환이다. 1819년 Langenbeck에 의해 전두동 점액낭종의 임상양상이 처음 소개된 이후 1896년 Rollet 에 의해 점액낭종이란 말이 처음으로 기술되었다. 부비동 점액낭종의 발생 원인만성 염증, 외상, 섬유 이형성증 (fibrous dysplasia), 골종(osteoma) 등의 신생물, 알레 르기, 비용 등에 의한 부비동 자연 배설구의 폐쇄로 인해 발생하며, 점액낭종 내의 분비물은 점액, 탈락된 표피 및 염증의 산물이 저류되어 형성된다. 부비동 점액낭종의 역학남녀의 발생빈도는 비슷하며,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2025. 3. 19.
병원 내 바늘 찔림, 바늘에 찔렸을 때 검사, needle injury
병원 내 바늘 찔림, 바늘에 찔렸을 때 검사, needle injury 에서 필요한 검사 필요한 초기 검사 (24-48시간 이내 권고)B형간염 : HBs Ag, anti-HBsC형간염 : anti HCV매독 : VDRLHIV : anti-HIV 추후 관리6주 후 : HCV RNA (LFT 포함) & anti HIV3개월 : HBs Ag, anti HIV6개월 : HBs Ag, anti-HCV, VDRL, anti HIV anti HIV : 6주, 3개월, 6개월HBs Ag : 3,6개월HCV RNA : 4-6주anti-HCV : 6개월 * B형 간염 환자의 바늘 접촉시 대처 항체 보유자는 별도 조치 필요 없음 (원할 경우 본인부담으로 면역 글로불린 투여 가능)항체 없는 사람이 노출된 경우 24시간 내 H..
2024. 7. 26.
커피, 녹차, 홍차, 초콜릿, 콜라의 카페인 함량
커피 종류별 카페인 함량 카페인은 수용성이라 일반적으로 드립커피에 더 많은 카페인이 있음 톨사이즈 한 잔에 235mg, 아메리카노는 150mg 홍차, 녹차의 카페인 함량 발효 과정에서 카페인 함량이 증가해 홍차는 47mg, 녹차는 28mg 정도로 커피> 홍차 > 녹차 순으로 많다. 콜라, 에너지 음료의 카페인 함량 콜라 한 병에 32mg, 에너지 음료는 평균 80mg 으로 에너지 음료는 카페인이 커피 수준으로 많다. 초콜릿의 카페인 함량 카카오가 많은 다크 초콜릿일 수록 카페인 함량이 놓고, 다크 초콜릿 기준 초콜릿 30g에 카페인 24mg으로 녹차와 유사하다. 고카페인 음료 1ml 당 카페인이 0.15mg 이상일 때로 정의하며 드립커피, 아메리카노, 에너지 음료, 편의점 커피 등이 해당되고 식품에 표기..
2022.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