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검진16

위내시경 결과 황색종(xantoma) 뜻, 원인, 치료 위내시경 결과 황색종(xantoma) 뜻, 원인, 치료 일반적으로 인체의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의 일부라고 생각하지만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정의병리학적으로는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질단백(LDL), 그리고 산화된 저밀도 지질단백(oxidized LDL)을 함유한 포말세포(foam cell)로 구성되어있고, 이 중 포말세포의 대부분은 조직구(histocyte)에서 기원하며 소수의 형질세포, 민무늬 근육세포, 그리고 슈반세포(Schwann’s cell)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포말세포의 핵은 작고 세포의 중앙 또는 변연에 위치하며 세포분열은 관찰되지 않는다.내시경으로 관찰하면 황백색으로 주변 점막과 경계가 명확한 단일 혹은 다수의 .. 2024. 11. 19.
폐암 표지자, cyfra 21-1 폐암 표지자 암배아항원(CEA, carcinoembryonic antigen) 편평세포암 항원(SCC Ag,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뉴런특이에놀라아제(NSE, neuron-specific enolase) 사이토케라틴 분절 21-1 (Cytokeratin fragment 21-1, Cyfra 21-1) ​ Cyfra 21-1 Cytokeratin-19 fragment(Cyfra21-1)은 기관지의 단층 상피같은 단순상피세포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Cyfra21-1은 양성 폐질환에서는 드물게 증가하지만 폐암, 그 중에서도 비소세포성폐암에서 증가하여 종양표지자로 사용되며, 비소세포성폐암의 진단, 예후, 수술 후 감시 등에 이용된다. 암 병기와 관련, 암이 진행될수록 그리고.. 2023. 7. 25.
복부비만CT 내장지방 피하지방 판별, 내장비만의 진단 내장지방 면적 여성 100cm2 이상 남성 131cm2 이상 --> 관상동맥 질환 발병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 일본인 연구에서 남자 100cm2 이상 여성 90cm2 이상 --> 복부 내장지방 분별점으로 정의 내장지방면적 (V) / 피하지방면적 (S) : 복강 내 지방 축적 정도의 지표로 이용 V/S ratio 0.4이상 : 내장지방 비만 V/S ratio 0.4 미만 : 피하지방 비만 피하지방 200cm2 이상 내장지방 100 cm2 이상 --> 경증 비만이라 하고 피하지방 300cm2이상 내장지방 200 cm2이상 --> 중증비만 ================= 피하 지방 비만 200cm2 이상 : 경증 비만 300cm2 이상 : 중증 비만 내장지방 비만 100cm2 이상 : 경증 비만 200cm2 이.. 2023. 4. 21.
대장내시경 장정결제 효과, 안전성, 복용량 비교 최상의 대장 내시경을 위한 적절한 전처치 하제의 선택: 고용량부터 최신의 저용량까지, Korean J Gastroenterol Vol. 75 No. 2, 65-73 적절한 대장내시경 장정결의 중요성 대장암의 2.9%는 대장 내시경 검사 후 평균 26개월 이후에도 진단 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57.8%는 폴립 간과가 원인이며, 그 중 19.8%는 부적절한 검사가 원인이었다. 적절한 장정결의 목표는 85-90% (ESGE, ASGE의 권고사항)인 반면 현실적으로는 70-80% 만이 적절한 장정결 상태를 보인다. 대장내시경 장정결제의 종류 (저용량 위주) 1. PEG-ELS 제제 (polyethylene glycol-electrolyte lavage solution) 1) 저용량 2L PEG / asco.. 2023.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