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검진

성인 횡격막 마비, 횡격막 탈장

by sweetB 2023. 7. 29.
반응형

흉부 촬영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횡격막 마비, 횡격막 탈장

 

성인 횡격막 마비, 횡격막 탈장

횡격막 마비는 임상에서 자주 접하는 소견이지만, 횡격막 탈장은 흔히 접하는 임상소견은 아니다. 간의 선천성 횡격막탈장은 소아에서 주로 관찰되며, 소아에서는 여러 합병증으로 수술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성인의 경우에는 주로 외상에 의해 일반적으로 관찰되며 비외상성으로 관찰 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럴 경우 우측 횡격막의 상승으로 인해 횡격막마비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다. 만약 꼬임에 의한 증상이 있을 경우 수술을 요하며, 무증상일 경우 관찰을 요한다.

횡격막 마비

횡격막은 경추 척추신경 3, 4 그리고 5번의 지배를 받는 가로막신경(격막신경; phrenic nerve)에 의해 조절된다. 가로막신경이 손상되면 횡격막의 단측 마비가 주로 오며, 일부에서는 양측의 마비가 오기도 한다. 가로막신경 손상 은 주로 수술에 의해 발생하며, 1963년 성인의 심장수술 후 합병증으로 처음 알려졌다. 인공호흡기의 기간, 입원 기간, 항생제의 사용과 연관이 있으며, 이는 호흡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1 .

횡격막 탈장

횡격막마비는 탈장을 유발할 수 있으 며 선천성 횡격막탈장은 소아에서 주로 관찰되며, 소아에서는 여러 합병증(특히 호흡곤란)으로 수술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3 . 선천성 횡격막탈장은 흉복막관(pleuroperitoneal ducts)의 폐쇄장애로 발생하는데, 이런 소아는 폐 발 달장애가 많이 동반되며 폐동맥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체외순환(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사망률이 50%에 이른다.

성인의 횡격막탈장은 주로 외상에 의해 일반적으로 관 찰되며 비외상성으로 관찰되는 경우는 드물다.

Bochdalek hernia는 70∼90%가 좌측에 발생하며, 남자에 많고, 위, 비장, 대장, 소장, 복막 등이 흉부로 탈장되는 경우가 많다.

Morgagni hernia은 횡격막의 우측 앞쪽에 생기는 경우로 여자에 많으며, 간, 담낭, 췌장, 콩팥, 후복막 지방 이 탈장되기도 한다. 이럴 경우 횡격막의 상승으로 인해 횡격막마비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다. 꼬임(strangulation) 이 약 30%에서 발생하는 데 이로 인한 증상이 있을 경우 수술을 요하며, 무증상일 경우 관찰을 요한다5,6

간의 발달장애는 간생성이 결핍되거나 과생성되는 경우로 나뉘는데, 간의 좌엽의 발달이 안 되면 위염전(gastric volvulus)을 일으킬 수 있고, 우엽이 발달이 안 되면 간문맥고혈 압을 일으킬 수 있다. 드물게 간생성이 결핍되어 우측 횡 격막으로 장탈장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간의 과다생성 은 부간엽(accessory lobes)을 만들며 이는 비틀림(torsion)을 일으킬 수 있다.

횡격막 마비, 횡격막 탈장의 진단 및 치료

횡격막마비는 흉부방사선에서 횡격막의 상승으로 관찰되는 데, 횡격막탈장을 정확히 진 단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을 실시하여야 한다9 . 성인에서 선천성 횡격막탈장이 무증상으 로 진단되는 경우는 드물며, 대부분 증상(복통, 가슴답답 함, 호흡곤란 등)을 호소하여 진단되어 치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무증상인 경우 경과관찰 가능하다.

​JH Park et al: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tion, diaphragmatic paralysi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