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내과

갑상선 결절 조직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 (2021년 K-TIRADS)

by sweetB 2023. 4. 4.
반응형

2021 K-TIRADS

K-TIRADS 5 High suspicion

고형 저에코결절 중 아래의 악성 의심 특성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가지는 경우

1) 내부에 에코성 석회화 punctate echogenic foci (=미세석회화)

2) 평행하지 않은 방향의 결절 nonparallel orientation

3) 불규칙한 경계 irregular margins

-> 악성 위험도 60% 이상, 1cm 초과 시 조직검사

-> 경과관찰 시 1-2년간 6개월 간격, 이후로 1년 마다 추적 초음파 검사

 

K-TIRADS 4 Intermediate suspicion

1) 위에 기술 된 악성 결절의 특성이 없는 고형 결절

2) 부분적 낭성/등에코성/고에코 결절 중 위에 기술된 악성 결절의 특성이 한 가지라도 있는 경우

3) 석회화 결절

-> 악성 위험도 10~40%, 1.0~1.5cm 초과 시 조직검사

-> 경과관찰 시 1,3,5년 마다 추적 초음파 검사 -> 5년 이후에는 3-5년마다 추적 초음파 검사 

 

K-TIRADS 3 Low suspicion

악성 결절의 특성이 없는 부분 낭성/등에코성/고에코 결절 

-> 악성 위험도 3-10%, 2.0cm 초과시 조직검사 고려

-> 경과관찰 시 1,3,5년 마다 추적 초음파 검사 -> 5년 이후에는 5년마다 추적 초음파 검사 

 

K-TIRADS 2 Benign 

1) 스폰지 모양의 등에코/고에코 결절

2) 혜성꼬리 음영, 내부에 에코성 foci가 있는 부분 낭성 결절

3) 완전 낭종

-> 악성 위험도 3% 미만, 통상적으로 조직검사나 수술을 권고하지 않음. 크기가 계속 증가하는 경우 고려 가능 

-> 경과관찰 시 2-5년마다 추적 초음파 검사  

 

갑상선 조직검사 후 결과에 따른 관리 

1. 비진단적 / AUS(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FLUS(follicular lesion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High suspicion : 6개월 이내 FNA 반복 혹은 CNB (가능하면 CNB)

-intermediate or low suspicion : 12개월 이내 FNA 반복 혹은 CNB

 

2. Benign

-High suspicion : 12개월 이내 FNA 반복 

-intermediate or low suspicion : 24개월 후 USG 

 

3. FN(follicular neoplasm)/SFN/악성의심/악성

-진단적 수술 혹은 수술적 치료 

 

 

https://www.ekjm.org/upload/kjm-2022-97-5-292.pdf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