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내과

무증상 갑상선 기능저하증 진단, 원인, 치료

by sweetB 2024. 1. 16.
반응형

2023년 대한갑상선학회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진료 권고안

 

무증상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진단

우리나라의 TSH 참고치는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근거한 0.6~6.8 mIU/L를 사용한다. (Strong, Moderate)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은 TSH의 범위에 따라 경증(TSH 6.8~10 mIU/L)과 중증(TSH >10 mIU/L)으로 나누며, 연령에 따른 갑상선호르몬의 영향이 상이하므로 70세를 기준으로 성인과 고령으로 나눈다. (Strong, Moderate)

 

무증상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유병률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의 유병률은 인구집단의 나이, 성별, 인종, 지역은 물론 TSH 측정 방법에 따라서도 다양해서, 4~20%로 알려져 있고, 한국인 유병률은 TSH 4.0 mIU/L를 참고치로 하였을 때 0.2-17.3%로 보고되었다.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의 유병률은 일반적으로 요오드 과잉 섭취 지역에서 높다. 한국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6564명의 요중 요오드 농도를 분석한 결과 요오드 권장 섭취량을 초과하는 사람이 66.3%이었다.

 

무증상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원인

  • 자가면역갑상선염 또는 기저 갑상선 질환 : 하시모토 갑상선염, 아밀로이드증, 사르코이드 증(sarcoidosis), 혈색소침착증(hemochromatosis), 리이델갑상선염(Riedel thyroididtis), 피부경화증(scleroderma) 등의 의한 침윤성 갑상선염, 갑상선 무형성증 등
  • 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 인데 갑상선호르몬제 복용이 불충분한 경우
  • 갑상선엽절제술
  • 방사성요오드 치료
  • 경부 방사선치료
  • 일과성 갑상선염
  • 약제 : 요오드 포함 조영제, 아미오다론, 리튬, 타이로신키나제억제제 (tyrosine kinase inhibitor; sunitinib, sorafenib, lenvatinib, cabozantinib 등), 인 16 터페론 알파, 혹은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ipilimumab, alemtuzumab, pembrolizumab) 등
  • 요오드 과잉 섭취
  • 생리학적 변화 : 계절의 변화, 비갑상선 질환의 회복기, 아급성갑상선염이나 무통성갑상선염, 산후갑상선염의 회복기
  • 그 외 : 이종친화항체, 류마티스 인자, 비오틴, macro-TSH, 혹은 TSH 아형 이상에 의한 TSH 측정 방법 에 따른 차이, 중추갑상선기능저하증 혹은 항진증, 갑상선호르몬저항증후군, 신기 능 이상, 부신피질호르몬부족, 비만, 고령 등
  •  

 

무증상 갑상선 기능저하증과 요오드 섭취

우리나라에서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 64명에서 시행한 전향적 연구결과 1일 평균 요오드 섭취량은 290.61 μg으로 요오드과잉 상태였고, 이들에게 요오드 섭취를 제한하자 48.5% 환자에서 갑상선 기능이 정상화되었다.

 

 

무증상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현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진행할 위험 인자

정상 갑상선기능 환자에 비하여 5년 이내 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될 확률이 10배 정도 높으며, 이환율은 5년 추적관찰 시 2.0~3.4%, 10년 이상 추적관찰 시 33~55%이다.

  • TPO 항체 양성,
  • 첫 진단 시 낮은 free T4 혹은 높은 TSH 농도
  • 추적 관찰 시 TSH 의 2배 이상 상승
  • 여성
  • 갑상선 초음파에서 에코저하 혹은 염증 소견이 있는 경우
  • 그 외 : 고령, 갑상선종, 경부 방사선치료 병력, 요오드 과잉 섭 취, 고혈당(식후 2시간 혈당 ≥200 mg/dL), 높은 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 ≥240 mg/dL), 높은 중성지방(중성지방 ≥200mg/dL), 비만(체질량지수 >30 kg/m2 ), 고 혈압, 심방세동, 신장질환, 아미오다론 투약 등

 

 

무증상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경과 관찰, 추적검사

1) 처음 발견된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은 치료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TSH 추적 검사를 시행한다. (Strong, Moderate)

-임상적 고려 사항: 처음 발견 2~3개월 후 추적 검사를 고려한다.

2)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의 경과를 예측하기 위해 갑상선과산화효소 (thyroperoxidase, TPO) 항체를 측정한다. (Strong, Moderate)

3) 진단 당시 높은 TSH 및 낮은 free T4, TPO 항체 양성, 추적 검사에서 2배 이상 상승하는 TSH, 여성, 갑상선염 등이 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진행하는 위험인자이므로, 이를 고려한 추적 검사 및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Weak, Moderate)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환자의 약 20%에서는 TPO 및 갑 상선글로불린 항체가 모두 검출되지 않는데, 이러한 환자에 갑상선 초음파를 시행했을 때 갑상선 실질 에코의 증가 및 감소, 거친 표면, 전후 방향 (anteroposterior) 길이의 증가 혹은 감소, marginal nodularity, micronodulation 등의 소견은 자가면역갑상선염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증거를 제공 하므로, 필요시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것도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 선별

1) 성인(<70세)에서 경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LT4 치료는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는다. (Weak, Moderate)

 

2) 성인(<70세)에서 중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은

2-1) 기저 관상동맥질환 또는 심부전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LT4 치료 를 시행한다. (Strong, Moderate)

2-2) 이상지질혈증과 동반되어 있는 경우 이의 개선 목적으로 LT4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Weak, Moderate)

 

3) 고령(≥70세)에서 경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해 LT4 치료를 시행하지 않는다. (Strong, High)

4) 고령(≥70세)에서 중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LT4 치료는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는다. (Weak, Moderate)

 

 

심혈관 및 대사질환에 대한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의 부정적 영향과 치료 적응증

1) 성인(<70세)에서 경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LT4 치료는 심혈관질환이 동반되어도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는다. (Weak, Moderate)

2) 성인(<70세)에서 중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LT4 치료는 기저 관상동맥질환 또는 심부전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시행한다. (Strong, Moderate)

 

3) 고령(≥70세)에서 경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해 LT4 치료를 시행하지 않는다. (Strong, High)

4) 고령(≥70세)에서 중증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LT4 치료는 심혈관질환이 동반되어도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는다. (Weak, Moderate)

 

5)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대사증후군 및 비만 치료 목적으로 LT4 치료를 시행하지 않는다. (Strong, Moderate)

6) 중증(TSH >10 mIU/L)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이 이상지질혈증과 동반된 경우 성인(<70세)에서는 이상지질혈증의 개선 목적으로 LT4 치료를 고 려할 수 있다 (Weak, Moderate)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 약제 선택 및 추적 관리

1) LT4 경구투여는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의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이다. (Strong, High)

2) LT4 필요 용량은 체중과 성별에 따라 다르며, 고령 혹은 심혈관질환 위 험을 동반한 환자는 초기 12.5-25 μg/일의 용량으로 시작하여 1-2개월 간 격으로 갑상선기능검사를 추적하여 혈중 TSH의 정상화를 목표로 용량을 조정한다. (Strong, Moderate)

3) LT4 치료 중 갑상선기능이 항진 상태로 전환 시 용량의 감량 및 중단 시도가 필요하다. (Strong, Moderate)

4) LT4 치료를 하지 않는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은 주기적인 추적 관찰을 시행하여야 하며, 적절한 검사 간격은 경증 및 중증에 따라 결정한다. (Weak, Moderate)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에 대한 진료실에서의 교육

1) 지속되는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정기적인 갑상선기능검사가 필요 함을 교육한다. 치료하지 않는 경우 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진행 여부 를 확인하기 위해, 치료를 시작한 경우에는 LT4 용량 조정 및 지속 복용의 필요성을 평가하기 위해서이다. (GPS) 2) 만성 자가면역갑상선염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는 저요오드 식이를 권장하 고, 고요오드 함유 건강보조식품은 피하며, 고요오드 함유 약제 복용은 주 의할 것을 교육한다. (GPS) 3) 모든 가임 연령 여성에서는 임신 관련 주의 사항에 대해 교육한다. 특히 LT4 치료 없이 경과 관찰 중인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 여성에서는 계획 임신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GPS)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