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염내과

매독 검사 : 선별 및 확진 검사, RPR, TPLA, FTA-ABS IgG와 IgM의 해석

by sweetB 2023. 11. 7.
반응형

매독의 선별검사 : RPR

 

매독의 확진검사 : TPLA (treponema pallidium latex aggulutination; 매독 감작 혈구 응집)

-> 매독 활성도와 관련은 없음. 한 번 걸리면 평생 양성 반응 유지

 

FTA-ABS IgG 형광매독균항체흡착검사 -> 초기 감염

FTA-ABS IgM -> 활동성 감염 & 잠복매독&치료 후 재감염

PCR -> 매독균 DNA 검출, 죽은균과 구분이 모호해 다른 검사와 병행해야 함

 

 

①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환자 ‒ 1기 매독, 2기 매독, 선천성 매독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환자만 신고대상이며, 의사환자는 신고대상 아님

 

② 임상증상

◦1기 매독: 경성하감(chancre)이 특징적 병변으로 균이 침입한 부위에 통증이 없는 구진이나 궤양이 발생하여 2주 내지 6주 후에 자연 소실됨

◦2기 매독 ‒ 감염 6주 내지 6개월 후에 발생함

‒ 열, 두통, 권태감, 피부병변(반점, 구진, 농포성 매독진, 편평콘딜롬), 림프절 종대 등을 보임

◦선천성 매독

‒ 대개 임신 4개월 후에 감염이 발생함

‒ 조기 선천성 매독: 생후 2년 내에 발병하며, 성인의 2기 매독과 비슷한 양상을 보임

‒ 후기 선천성 매독: 생후 2년 후에 발병하며 Hutchinson 치아, 간질성 결막염, 군도 정강이(saber shins) 등을 보임

 

③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1기·2기 매독 ‒ 검체(경성하감 또는 편평콘딜롬과 같은 피부병변조직, 궤양부위 삼출액(농, 진물))에서 암시야현미경검사로 매독균 검출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트레포네마검사 양성

‒ 검체(경성하감 또는 편평콘딜롬과 같은 피부병변조직, 궤양부위 삼출액(농, 진물), 혈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선천성 매독 ‒ 검체(태반, 제대, 피부병변조직, 림프절, 제대혈)에서 암시야현미경검사로 매독균 검출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비트레포네마검사 양성

‒ 검체(태반, 제대, 피부병변조직, 궤양부위 삼출액(농, 진물), 림프절, 제대혈)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출처 : 알기쉬운진단검사 (매독 진단알고리즘) 2012 June.pdf, 삼광의료재단

성매개감염병  관리지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