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기 철결핍성 빈혈의 원인
만삭 분만된 신생아는 모체로부터 충분한 양의 철분 을 이행받아 생후 6개월까지는 여분의 철분 섭취 없이도 철 결핍성 빈혈이 호발 하지는 않으나 생후 6개월 이후에도 추가적인 철분의 섭취가 부족하다면 철결핍성 빈혈이 발생하 게 된다. 이렇듯 영유아기에 철결핍성 빈혈이 많이 발생하 는 이유는 크게 장기간 이유식의 보충 없이 생후 6개월 이상 모유수유만 하는 경우, 우유병을 오래 사용하며 인식 부족으 로 이유식 섭취가 늦은 경우, 돌 전 생우유 섭취가 지나치게 많은 경우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특히 우유에는 철분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은데, 우유를 1세 미만의 영아에게 조기에 투여하거나, 1세 이후에도 하루에 500-700 mL 이상 과량으로 수유시키면, 이는 영유아의 장 점막에 상처를 주어 만성 위장관 출혈로 인한 철결핍성 빈혈을 초래하게 된다
청소년기 철결핍성 빈혈의 원인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철분결핍의 원인으로는 대개 갑작스런 성장에 따른 철의 요구량이 증가되어 상대적인 철의 부 족으로 인하여 나타나게 되며, 이때에 철분의 섭취가 요구량 에 비해 불충분한 경우에 발생한다. 그 외에는 철결핍성 빈혈의 원인이 될 만한 증상을 중심으로 병력청취 및 신체검사 를 시행해야 하며, 복통이나 속쓰림 등의 소화성궤양과 같은 위장장애가 있는지, 이밖에도 치핵이나 연소성 용종, 여아인 경우 월경 과다 등의 실혈 유무에 대해 알아보아야 한다. 이러한 특이 증상 또는 실혈의 증거가 없으나 철분제제의 복용 에 반응을 하지 않는 철결핍성 빈혈의 경우, H. pylori 감염 이나 탈라세미아 외에 드물게 자가면역성 장질환을 생각해 볼 수 있겠으며, 마지막으로 환아가 운동선수인 경우 강도 높은 운동에 의해서 철 균형의 파괴로 나타나는 운동선수의 빈혈도 고려해야 한다.
소아 철결핍성 빈혈의 경우 원인 질환의 교정과 함께 철분제를 보충해 준다.
1. 경구용 철분치료
일단 철결핍성 빈혈로 진단이 되면 하루에 철분을 6 mg/ kg (elemental iron) 투여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경구 철 제는 ferrous salt가 ferric salt보다 흡수가 잘되기 때문에 추천이 되며, 하루 3회로 나누어 식간에 복용하는 것이 흡수 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경구용 철분은 복용 시 소화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위장장애가 심할 경우에 한해서는 식후 에 복용하도록 한다.
비타민 C가 함유된 과일이나 과즙, 육 류로 만든 이유식 및 철분이 첨가된 곡류는 철의 흡수를 증가시키나, 종합 비타민이나 칼슘염, 생우유, 치즈 등의 낙농 제품은 철의 흡수를 저하시키므로 복용 시 주의해야 한다. 철제 복용 중에는 생우유를 하루에 500 mL 이상 섭취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철결핍성 빈혈의 진단이 애매하더라도 철분 투여 한 달 후 혈색소치가 1.0 g/dL 상승하면 철결 핍성 빈혈로 확진할 수 있다. 일단, 철분치료 후 혈색소가 정 상화 되더라도 약 8주 정도 철분을 더 투여해야 하는데, 그 것은 고갈된 저장철의 보충을 위해서이다.
철결핍성 빈혈 환아에서 철분치료로 12-24시간이 지나면 기분이 좋아지고 뚜렷하게 보챔이 감소하며 식욕이 증가 한다. 치료 시작 후 48-72시간이 지나면 망상 적혈구가 증 가하고, 4일째부터는 혈색소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철분 복용 약 일주일 후에는 망상 적혈구와 혈색소 수치를 확인하 여 빈혈의 호전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런 반응이 없는 경 우에는 원래 진단이 잘못되었거나, 처방대로 약을 먹이지 않 았거나, 잘 흡수되지 않는 철제를 투여했거나, 몸의 어느 부 위에서 실혈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이므로, 그 원인을 조사해 보아야 한다[22].
2. 비경구적 철분치료
경구용 철을 감당할 수 없거나 흡수할 수 없는 경우, 철 저 장을 급격히 올리기 원할 경우, 위장관 흡수가 방해받는 경 우이다. 대부분 정맥을 통하여 철분(iron dextran, iron gluconate, iron sucrose)을 공급하게 되는데, 주입 초기에 흉통, 천명, 혈압 강하 등의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 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정맥으로 철분을 공급할 경우 경구 용 철분제제에 비하여 효과 면에서는 비슷하다.
'소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 비만의 진단과 치료, 대한 비만학회 비만치료지침 2018 (0) | 2021.07.29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