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 관상동맥 칼슘 수치 (Coronary artery calcium scoring)

sweetB 2023. 3. 29. 11:37
반응형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 관상동맥 칼슘 수치 (Coronary artery calcium scoring)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는 관당목잴 질환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다.

ACC/AHA 가이드라인에서는 IIB 정도 수준으로 근거를 설정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검사에 대해 포괄적인 이해가 없이 무분별하게 해석하고 적용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1.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 검사는 향후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과 사망 발생 예측에 유용한 지표이다.
  2. 음성 예측도가 높기 때문에 전통적인 위험요소를 가진 사람들에게서는 다르게 평가 되어야 한다.
  3. 다른 결과들과 고려하여 칼슘 지수가 높을 경우 스타틴이나 아스피린 사용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4. 무증상이지만 점수가 높을 경우 포괄적인 논의 없이 추가검사를 시작하지 않는다.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 과 칼슘

죽상경화증은 몇십년에 걸쳐 생성된다.

처음에는 지질이 혈관 내중막에 쌓이며, 염증 세포들이 모이게 되고 이들은 괴사성 중심부와 석회 침착을 형성한다.

​관상동맥 석회화는 거의 대부분 죽상경화증에 의해 일어난다.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의 진단적 가치

석회화 지수는 민감도는 95% 정도로 높으나 특이도는 44% 가량으로 낮은 편으로 심혈관질환의 진단에 단독 사용하기는 어렵다.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 칼슘 점수의 예측적 가치

한 메타연구*에 따르면 석회화 지수에 따른 심혈관질환 발생 관련 사망이

1-100점일 때 2.1배

101-400점일 때 4.2배

400점 이상일 때 7.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letcher MJ, Tice JA, Pignone M, Browner WS. Using the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to predict coronary heart disease events: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ch Intern Med 2004; 164(12):1285–1292. doi:10.1001/archinte.164.12.1285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 관상동맥 칼슘 수치와 약물 치료

The Society of Cardiovascular Computed Tomography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0점 이상의 환자에게서는 스타틴 치료를 권장하고 있고

100점 이상의 환자는 아스피린 치료를 고려해볼 것을 권장하고 있다.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 관상동맥 칼슘 수치 검사 권장 대상

  • 무증상이지만 10년 이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중등도(intermediate)'인 경우(10-year risk of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5-20%)
  • 조기 심혈관계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Coronary artery calcium scoring: Its practicality and clinical utility in primary care, CLEVELAND CLINIC JOURNAL OF MEDICINE VOLUME 85 • NUMBER 9 SEPTEMBER 2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