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뇌 MRI에서 발견되는 라트케낭(Rathke's Cleft Cyst), 증상과 치료, 자연 경과

sweetB 2023. 3. 21. 11:45
반응형

라트케낭(Rathke's Cleft Cyst) 의 빈도

autopsies 결과 15%가량

검진으로 발견이 증가하는 추세

 

라트케낭(Rathke's Cleft Cyst)의 발생

전엽과 후엽이 발생학적으로 다른 과정으로 내려와 형성되는데, 전엽과 후엽 사이에서 발생한다.

 

라트케낭(Rathke's Cleft Cyst)의 감별 진단

그냥 단순 라트케낭인지 다른 종류의 종양(뇌하수체 선종) 인지 구분 필요하다.

RCC는 대체로 시간이 지나면 작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보통 MRI 영상에서 T2WI에서fluid level, septation이 있으면 adenoma 가능성이 높고

intracystic nodule이 있으면 RCC 가능성이 증가한다.

 

라트케낭(Rathke's Cleft Cyst)치료

라트케낭 자체는 악성 종양이 아니기 때문에 제거가 필요하지는 않다.

하지만 종양의 위치로 인해 종양이 뇌하수체나 뇌신경을 눌러서 두통,시야장애, 뇌하수체 기능 부전을 유발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보통 5mm미만이면 영상 검사 추적 관찰도 하지 않는다.

증상이 없고, 5mm 이상이라 영상검사 (0, 1, 2, 4, 8년 -보험기준 맞추어)를 보통 진행한다.

검사 과정 중 크기가 증가하면 시야 검사를 시행한다. 

증상이 있으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라트케낭(Rathke's Cleft Cyst)자연경과 및 수술 후 경과

수술 없이도 30%정도는 저절로 크기가 감소한다.

따라서 뇌하수체 기능이 괜찮으면 크다고 수술은 안한다.

수술 이후에도 뇌하수체 기능저하가 유지되기도 하고, 환자 상태에 따라서 회복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

대부분은 두통, 시야결손으로 수술을 많이 하게 된다.

연구 결과 두통은 절반 가량 호전되는 걸로 보아서 두통이 RCC와 얼마나 관련 있는지를 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과 : 신경과, 신경외과 

출처 : 2023년 대한내분비학회 연수강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