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내과/골다공증
골다공증 진료에서 골표지자 활용법 (2022 대한골대사학회 골다공증 연수강좌)
sweetB
2023. 3. 19. 11:15
반응형
골표지자
Bone turnover markers
(BTMs)
- 골흡수 표지자 : CTX carboxy-terminal crosslinking telopeptide of type 1 collagen
- 골형성 표지자 : P1NP procollagen type 1 N propeptide
골표지자의 유용성
혈액, 소변으로 쉽게 채취 가능
골밀도 촬영보다 먼저 변화를 예측 가능
골절 위험도 & 치료 효과 판정에 유용
골표지자의 한계점
전체 골격의 turnover를 반영
- 특정 부위 해석에는 어려움이 있다
osteocyte 활성도를 평가하는 것은 아님
생물학적인 변동성이 많다
- 연령, 성별, BMI, 생리주기, 채취시간(생체 리듬) 등
예)
나이가 많을 수록
생리후에
여성이
골절 2주~4-5개월까지
항경련제 사용시
갑상선기능항진, 만성신질환
--> BTM 증가 가능
Bed rest/ immobility 시
- 골형성 표지자는 감소
- 골흡수 표지자는 증가 가능
스테로이드 복용 시 감소 가능
아침 식사후 CTX 20% 감소 가능
--> 공복으로 비교하는 것이 유용
CTX는 일중 변동이 큰 편이다
겨울에 약간 더 감소하는 경향
칼슘 보충제 섭취 직후 살짝 감소하는 경향
운동은 개인에 따라 영향을 미치기도 함
골표지자 사용의 실제
- 혈중 CTX 비교
-11시 이전 검사, 공복, 운동하지 않은 상태로 검사하도록 권고
-골흡수를 억제하는 치료제인 BP, 데노수맙의 효과를 볼 때 유용함
--> 4-5배 높은 수치를 가지면 골절 위험이 증가함
어느 수준까지 낮추면 좋은지는 아직 모른다
치료 전 증가되어 있으면 골흡수 억제제 효과가 좋을 것으로 예측 가능
- 혈중 PINP 비교
-골형성표지자
-더 안정적이며 골절 예측에 유용함
-골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약제 효과 평가에 유용함
치료 3개월 이후
혈중 CTX는 56% 이상 감소시
혈중 PINP 38이상 감소시
치료 효과 있는 것으로 보고 치료 지속
급여 기준
2018.10.1 변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