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내과

무증상 갑상선 기능 항진증, 불현성 갑상선 기능항진증

sweetB 2021. 10. 8. 09:24
반응형

오늘은 무증상 갑상선기능항진증, 불현성 갑상선기능항진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정 의 >

1. 갑상선 호르몬(T4) 은 정상

2.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이 감소

 

 

보통 갑상선호르몬 T4가 증가할 경우, 보상적으로 갑상선 자극 호르몬인 TSH가 감소하게 됩니다.

하지만 갑상선 호르몬이 정상 범위에 있는데도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감소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를 무증상(불현성)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라고 부릅니다.

 

 

< 원 인 >

 

1. 중추성 갑상선기능저하증

뇌하수체나 시상하부에 문제가 있어서 TSH가 감소된 경우가 있습니다.

 

2. 일시적인 경우

감염이나 다른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일시적으로 이상 수치를 보일 때가 있습니다.원인 질환이 회복되면 갑상선 수치도 회복 되기 때문에 지켜봅니다.

 

3. 갑상선염에서 회복되는 중인 경우

과거에 갑상선염 치료 받으신 분들 중에 몇 달 정도 이상 수치를 보이는 분들이 있습니다.

 

4. 비오틴 섭취를 하신 경우

비오틴을 매일 5-10mg 섭취할 경우 중단 2-3일 후에 재검을 하면 정상으로 나옵니다.

 

 

<치 료>

 

원인 질환이 있을 경우, 원인 질환을 치료합니다.

원인 질환이 없다면 1-2달 후 재검사를 합니다.

활성형 갑상선 호르몬 T3와 항체 검사를 같이 시행해 볼 수 있습니다. 

재검사 결과에서 이상이 없다면, 6개월마다 검사를 다시 합니다.

 

# 약물치료를 고려하는 경우

65세 이상, 갑상선 기능 항진증 증상이 있는 경우, 

심혈관계 질환, 골다공증이 있을 경우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아주 낮은 경우 (0.1mLU/L 미만)

 

 

<예 후>

 

매년 0.5-8%가 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 진행됩니다.

40-60%는 1년 안에 저절로 호전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