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정보

코로나 백신 예방접종 부작용, 혈전증. 증상과 치료는?

sweetB 2021. 6. 2. 12:48
반응형

코로나 백신 예방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대다수의 국민들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하게 되었고

예비군, 민방위를 대상으로 한 얀센 백신 접종도 곧 시작될 예정입니다.

 

이번에는 많이 걱정하고 계시는 백신의 희귀 중증 부작용인 '혈전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혈전이란 ?

쉽게 말해 혈관 속에 피가 굳은 피딱지가 생기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모두 동일한 방식의 백신이고 비슷한 원리로 혈전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화이자, 모더나는 mRNA 방식으로 조금 다릅니다.)

 

백신 접종 후 피를 응고시키는 혈소판과 관련된 항체가 생성되어 혈손판을 활성화시켜 혈전이 유발되고, 혈소판 수가 감소하게 됩니다.

 

 

# 얼마나 많이, 누구에게 발생하나?

 

1. 아스트라제네카 : 2021년 4월 23일 기준

유럽의약품안전청 (EMA)에 신고된 건수에 따르면 10만명당 1명으로 추정됩니다.

대부분 60세 미만 여성들에게서 발생했습니다.

 

2. 얀센 : 2021년 5월 7일 기준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FDA)와 질병통제센터(CDC) 분석에 따르면 870만명중 28건 10만명당 0.3명으로 추정됩니다.

남성이 6명, 여성은 22명, 연령 중간값은 40세로 18세부터 59세까지 다양하게 발생했습니다.

 

 

# 증상은?

혈전이 어느 혈관을 막느냐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혈관 : 두통, 경련, 발작, 시야 흐려짐, 물체가 두개로 보임

심장, 폐, 대동맥 등의 혈관 : 호흡곤란, 가슴 통증, 복통

사지 혈관 : 팔 다리의 부종, 창백함, 차가움, 붉어짐

그 외 : 작은 멍, 자반, 비정상적인 출혈 

 

 

보통 접종 후 하루 이틀은 알레르기, 근육통, 고열과 같은 이상 반응이 흔하고

혈전증은 평균 4-28일 이내로 생깁니다. 

따라서 접종 후 한 달 간은 유의하며 지켜보셔야 겠습니다.

4일 이후부터 해당 증상이 생긴다면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시어 진찰 받으시기 권유 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