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내과

위내시경 결과 황색종(xantoma) 뜻, 원인, 치료

sweetB 2024. 11. 19. 16:27
반응형

 

위내시경 결과 황색종(xantoma) 뜻, 원인, 치료

 

일반적으로 인체의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의 일부라고 생각하지만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정의

병리학적으로는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질단백(LDL), 그리고 산화된 저밀도 지질단백(oxidized LDL)을 함유한 포말세포(foam cell)로 구성되어있고, 이 중 포말세포의 대부분은 조직구(histocyte)에서 기원하며 소수의 형질세포, 민무늬 근육세포, 그리고 슈반세포(Schwann’s cell)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포말세포의 핵은 작고 세포의 중앙 또는 변연에 위치하며 세포분열은 관찰되지 않는다.

내시경으로 관찰하면 황백색으로 주변 점막과 경계가 명확한 단일 혹은 다수의 결절 또는 판으로 보이며, 크기는 대부분 1 ∼10 mm 정도이다.

 

2. 역학

현재까지 위 황색종에 대한 역학 연구는 없었다. 국내의 한 연구에서 1명의 내시경의가 1년간 7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4명(7%)에서 관찰되었다.7 병원을 방문하지 않은 환자들을 고려할 때, 위 황색종은 유병률 및 발병률이 더 높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고령층의 환자에서는 훨씬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

 

3. 병태생리

황색종은 100여 년 전에 처음 보고되었지만 원인과 병태생 리는 아직 잘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의 개념은 점막 손상으로 인하여 세포막의 지질이 유리되고, 이것을 간질의 조직구가 탐식함으로써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점막 손상의 원인으로 만성위염, H. pylori 감염, 고지혈증 등 의 가설이 제시되었다. 즉, 위 점막에 염증이 발생하면 위 점막 상피세포가 파괴되어 세포막의 콜레스테롤이 세포 외로 유리되어 침착하고 결정화하게 된다. 이후 국소적인 세포의 대사 장애로 콜레스테롤 합성이 증가하게 되고, 파괴된 상피세포의 지방 잔해를 조직구가 탐식한 후 집락을 형성한 것이 포말세포이며, 점막의 고유층에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집락이 황색종으로 관찰된다

 

4. 만성위염과의 연관성

위 황색종은 정상 위 조직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위축성위염, 장상피화생 등 만성위염에 의한 병리적 변화가 있는 곳에서만 관찰된다.

한편, 위 부분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위 황색종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데, 이는 수술 후 담즙 역류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이로 인한 위 점막의 만성염증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대로 식도에서 발견되는 황색종은 위에 비해 드문데 이는 위 점막의 원주상피에 비해서 식도 점막의 편평상피세포가 외상이나 염증 등에 잘 견디기 때문일 것이다.

 

5. 위 이외 위장관의 황색종

식도 황색종은 흔하지 않지만 많은 증례 보고가 있었고, 한 후향적 연구에서 상부위장관에 발생하는 황색종 중 12% 정도라고 보고하였다. 같은 연구에서 십이지장의 황색종도 상부 위장관에 발생하는 황색종 중 12%로 보고하였다. 십이지장 이 외의 소장에서 발생한 황색종도 많은 증례 보고가 있었는 데, 대부분 종양과 연관된 증례였다.

 

6. 임상적 의미

위 황색종은 위선암을 포함한 위 종양 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연관성에 대한 병태 생리학적 기전이 불명확하므로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대 부분의 경우 무증상이고 고지혈증 등 전신 질환과 관련이 없지만 일부에서 악성 종양과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어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위선암의 전구 병변으로 알려진 H. pylori 감염 및 위축성위염, 장상피화생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 려져 위선암의 바이오마커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출처 : 위 황색종의 병태생리학 및 임상적 중요성, 박형욱, 김병욱,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3;13:154-157)

 

반응형